본문 바로가기

CAD공부하자/1. 필수 기본기

[CAD기본] 좌표계 이해하기-절대좌표, 상대좌표, 극좌표


1. 절대좌표


캐드의 절대적인 원점인 (0,0,0)을 기준으로 X,Y,Z 좌푯값 만큼 이동한 위치에 지정하는 좌표입니다.

입력하는 방법은 (x,y,z)로 표시합니다.

 

설명은 복잡하지만 그림으로 보시면 간단합니다.

그림과 같이 (6,4) (-4,5) (3,-3) (-4,-2) 네 개의 점은 원점(0,0)을 기준으로 표시된 절대좌표입니다.

수학시간에 배웠던 좌표를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2. 상대좌표


임의의 시작점이나 사용자가 바로 이전에 지정해놓은 가장 마지막 작업점을 다시 원점으로 하여

X,Y,Z 좌푯값만큼 이동한 위치에 지정되는 좌표입니다.

 

이때, 사용자가 새로이 지정하는 임의의 점이 계속해서 새로운 원점이 됩니다.

 

즉, 사용자가 어디로 지정하느냐에 따라 기준점(0,0,0)이 상대적으로 변하므로 상대좌표라고 합니다.

절대좌표와 구분하기 위해 숫자 앞에 @을 붙인 후 사용합니다.

 

그림에서 A,B,C 세 점을 절대좌표로 표시하면

A(2,2) B(6,5) C(7,3)이 됩니다.

 

그러나 상대좌표로 표시하면,

처음에 찍은 점A가 새로운 원점인 (0,0)이 되어

점B는 점A에서 x축으로 4칸, y축으로 3칸 이동한 @4,3이 됩니다.

점C 역시 점B를 원점으로하여 x축으로 1칸, y축으로 -2칸 이동한 @1.-2가 됩니다.

 


3. 극좌표


극좌표는 상대좌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바로 이전에 지정해놓은

가장 마지막 점을 원점으로 하여 입력하는 값의 위치를 지정하는 좌표입니다.

 

극좌표는 이동거리와 각도를 입력하여 점을 지정한다는 점에서 상대좌표와 차이가 있습니다.

극좌표의 표현방식은 (@거리<각도)이기 때문에

선의 길이와 선이 그려질 방향, 즉 각도를 알아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점B는 임의의 점A를 기준으로

선의 길이 7, 각도 40도 이기 때문에

좌표는 @7<40이 됩니다.

 

좌표계에서 각도의 기준인 0˚는 시계의 3시방향인 X축과 평행한 방향입니다.

 0˚방향을 기준으로 +각도값은 시계반대방향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기준을 시계방향으로 둔다면 6시 방향이 -90˚가 됩니다.

즉, 90˚와 -270˚, 180˚와-180˚, 270˚와 -90˚는같은 방향이 됩니다.

 

 

오늘은 CAD의 좌표계를 공부했습니다.

다음에는 이 좌표계를 이용해 선을 그리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